Philosophy 3

[Talk] 객체 지향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의 의의

디자이너들에게 '객체지향'이라고 하면 사용자 경험 디자인(UX Design)과 같이 사용자, 손님을 먼저 생각하는 개념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이 '객체(Object)'라는 개념이 낯설어서인데, 객체는 손님 객자를 써서 시스템을 사용하는 누군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주체(Subject)의 반대로서 번역된 용어이며, 오히려 '개체'에 더 가까운 개념이다.개발에서 이야기하는 '객체'란, 그 자체로 완결성을 가진 프로그램의 블록을 의미한다. 객체와 비교되곤 하는 것이 함수(Function) 또는 프로시저(Procedure)인데, 이들은 입력된 값을 계산해 결과값을 출력하는 단위들이다. 작동을 위한 인자(parameter)가 존재하며, 이를 인수(argument)의 형태로 대입하여 사용한..

Philosophy 2024.11.16

[Talk] 인공지능은 디자인을 어떻게 바꿔 놓을 것인가

인공지능의 개념이 처음 모습을 드러냈을 때 우리는 '단순 노동자 부터의 일자리 소멸'을 예상했었다. 제아무리 인공지능이라도 고차원적인 개념이해나 발상은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고, 비교적 단순한 노동을 모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특히 '디자인'은 미학이나 창의적인 측면이 많아 기계학습으로 따라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곤 했다.그러나 기술의 변화로 인공지능이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인식의 양상은 달라졌다. 실제로는 오히려 우리에게 너무나 쉬운 걷기, 물건 집기, 옮기기 등은 기계에게 너무나 많은 조작과 섬세한 변수 제어를 필요로 하는데 비해 오늘날 거의 전산 위주로 이뤄지던 지식 노동은 오히려 기계의 영역이었기에 '어떻게 하는 건지' 학습만 이뤄지면 쉽게 처리가 가능했기..

Philosophy 2024.11.13

[Talk] 왜 디자인은 기술을 이해해야 하는가

기술적인 매커니즘이나 로직을 이해하려 하는 디자이너들이 있는 반면, 그 쪽은 나의 일이 아니기 때문에 벽을 쌓고 건드리지 않으려고 하는 디자이너들도 있다. 이 둘 중 어떤 쪽이 옳으냐 묻는다면, 당연하게도 답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일 것이다. 이는 디자이너 개인의 역량, 적성, 동기 뿐 아니라 업무의 세부 분야나 조직의 구성 등에 따라서도 너무나 달라지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을 억지로 하려다가 역효과가 날 수도 있고 조직에 속한 경우나 주어진 업무의 성격, 범위에 따라 디자이너가 기술까지 알려 하기엔 맞지 않는 경우도 많다.그러나 그럼에도, 일반적으로 디자인이 기술을 이해해야 하느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대답하게 된다. 위에서 말한 개인의 케이스는 세세한 사정에 따라 답이 달라지지만,..

Philosophy 2024.11.11
728x90
반응형